『비긴 어게인(Begin Again)』은 2014년 개봉한 미국의 음악 드라마 영화로, 『원스(Once)』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존 카니(John Carney) 감독의 작품입니다. 키이라 나이틀리와 마크 러팔로, 애덤 리바인 등 탄탄한 캐스팅과 함께, ‘음악’이 가진 치유의 힘과 인생의 재시작에 대한 이야기를 아름답게 풀어낸 이 작품은, 소리 없이 관객의 마음을 적시는 특별한 영화로 오랫동안 회자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비긴 어게인』의 주요 등장인물, 도시의 배경이 어떻게 이야기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었는지, 그리고 국내외의 평단과 관객 반응까지 함께 살펴봅니다.
🎵 등장인물의 관계와 성장
이 영화는 두 주인공의 성장담이자 회복의 여정을 다룹니다. 모두 삶의 변곡점을 마주한 이들이고, 음악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서로를 이해하고, 자신을 되찾고, 세상과 다시 연결됩니다. 단순한 남녀의 로맨스를 기대한 관객이라면 의외로 느낄 수 있지만, 『비긴 어게인』이 진짜로 보여주고자 하는 것은 ‘사랑보다 더 깊은 교감’입니다.
- 그레타(키이라 나이틀리): 영국 출신의 싱어송라이터. 남자친구 데이브와 함께 뉴욕에 왔지만, 그가 음악적으로 성공하면서 둘의 관계는 어긋나기 시작합니다. 그녀는 음악과 사랑 중에서 사랑을 선택했지만, 현실은 그녀를 외롭게 만듭니다. 그러나 길거리에서 우연히 자신의 음악을 부르고, 그것이 댄에게 발견되며 인생이 새롭게 흘러가기 시작합니다.
- 댄(마크 러팔로): 한때 잘 나가던 음반 프로듀서였지만, 현재는 해고되고, 가족과도 소원해진 상태입니다. 인생의 나락에서 우연히 들은 그레타의 음악이 그의 영혼을 흔들고, 다시 살아갈 동기를 부여합니다. 그는 스튜디오가 아닌 뉴욕 거리에서 앨범을 만들자는 실험적인 프로젝트를 제안하며, 그녀와 함께 음악으로 다시 삶을 채워나갑니다.
- 데이브(애덤 리바인): 그레타의 남자친구로, 스타 뮤지션. 음악적 재능과 외모로 인해 점점 스타덤에 오르며 변해갑니다. 그레타와의 관계는 점차 멀어지고, 그는 자신도 모르게 진심을 잃어버립니다. 이 캐릭터는 예술성과 상업성의 대립을 상징하기도 합니다.
- 바이올렛(하일리 스테인펠드): 댄의 딸로, 아버지와의 관계가 단절되어 있었지만, 음악을 매개로 점점 관계가 회복됩니다. 그녀 역시 기타를 치며 재능을 보여주며, 세대 간의 연결고리를 담당하는 중요한 인물입니다.
영화는 이들의 교차하는 삶을 통해 단순한 성공이나 사랑의 이야기를 넘어, **자기 정체성과 진짜 행복에 대한 탐색**을 중심 주제로 다룹니다. 관계를 복원하고, 상처를 인정하며, 다시 살아가는 법을 배우는 이들의 여정은 마치 잔잔한 선율처럼 관객의 마음에 잊히지 않는 울림을 남깁니다.
🌆 뉴욕의 거리에서 녹음된 감성 배경
『비긴 어게인』의 가장 인상적인 요소 중 하나는, 스튜디오가 아닌 뉴욕 거리에서 음악을 직접 녹음하는 장면들입니다. 이 설정은 단순한 기획을 넘어, 영화 전체의 정서를 규정짓는 핵심 장치로 기능합니다. 댄은 그레타에게 제안합니다. “도시 자체가 우리 스튜디오야.” 이 말은 곧 영화의 메시지이기도 합니다. 음악은 특정 공간에 갇혀 있는 것이 아니라, 어디에서든 울려 퍼질 수 있다는 신념이 담겨 있습니다.
뉴욕이라는 도시는 이 영화의 또 다른 주인공입니다. 브루클린 다리, 메트로 역, 루프탑, 공원 등 다양한 도시의 공간은 사운드스케이프와 함께 각기 다른 곡들의 정서를 전달합니다. 그리고 음악은 이 공간들 속에서 새로운 생명력을 얻습니다. 그레타의 담담한 감정, 댄의 감각, 그리고 각각의 뮤지션들이 이 도시를 무대로 하나의 음악을 완성해 나가는 과정은 단순한 음악 작업이 아닌, ‘삶을 녹여낸 예술’ 그 자체입니다.
이 영화가 말하는 음악은 정제되고 다듬어진 것이 아니라, 거칠고 날것이지만 진실된 표현입니다. 그리고 그러한 진심이야말로 관객의 마음을 흔드는 음악이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영화 속 등장하는 음악들은 거의 모두 직접 연주되고 녹음되었으며, ‘Lost Stars’, ‘Tell Me If You Wanna Go Home’, ‘Like A Fool’ 등은 그 자체로도 명곡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국내외 반응 및 평가
해외 반응
- IMDb 평점: 7.4/10
- Rotten Tomatoes: 비평가 평점 83%, 관객 점수 82%
- Metacritic: 62점 (전반적으로 호평)
영화는 비평가들 사이에서 “과하지 않고 진정성 있는 음악 영화”, “관조적인 전개와 감미로운 음악이 잘 어우러진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특히 마크 러팔로와 키이라 나이틀리의 케미, 그리고 OST 앨범은 별도로 발매되어 높은 판매고를 기록했고, 애덤 리바인이 부른 ‘Lost Stars’는 아카데미 주제가상 후보에도 오르며 영화의 인기를 증명했습니다.
국내 반응
한국에서도 『비긴 어게인』은 개봉 당시보다 오히려 IPTV, 넷플릭스 등 OTT 플랫폼을 통해 큰 사랑을 받았으며, “힐링 무비”, “퇴근길에 듣기 좋은 영화”, “음악이 위로가 되는 순간” 등 다양한 반응이 이어졌습니다. 재개봉 당시에도 관객의 자발적인 입소문을 타며 많은 이들의 인생영화로 자리 잡았고, 특히 20~40대 여성 관객층에게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가장 큰 호평을 받은 부분은 OST였습니다. ‘Lost Stars’는 국내 음원차트 상위권에 랭크되며 꾸준히 사랑받았고, 지금도 웨딩이나 버스킹에서 자주 연주되는 인기곡으로 남아 있습니다. 키이라 나이틀리의 보컬도 화제가 되었으며, 전문 가수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담백한 표현으로 깊은 감정을 전달했다는 평이 많았습니다.
결론 요약
『비긴 어게인』은 상처받은 두 사람이 음악을 통해 스스로를 치유하고, 삶을 다시 시작하는 이야기를 따뜻하게 그려낸 작품입니다. 화려한 기교나 강렬한 드라마 없이도, 진심 어린 이야기와 진솔한 음악만으로 깊은 울림을 주는 영화입니다.
지친 하루 끝에서, 마음이 복잡할 때, 누구에게도 말 못 할 감정을 품었을 때, 『비긴 어게인』은 그 어떤 말보다 더 큰 위로를 전해줍니다. 지금 당신의 인생이 멈춘 듯 느껴진다면, 이 영화를 통해 다시 한번 '시작'해보세요. It’s never too late to begin again.